SM4 카카오VS하이브, 점입가경 SM 쟁탈전 SM 엔터테인먼트를 사이에 두고 카카오와 하이브의 쟁탈전이 점입가경이 되어 가고 있다. 이 싸움의 시작은 이전 블로그에서 다루었던 주주 행동주의를 표방한 얼라인 파트너스 자산운용사의 이수만 프로듀서에 대한 문제제기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SM 경영진과 카카오의 협력 발표와 함께 카카오에 대한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 진행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고, 그 때문에 본인의 지분 희석을 통해 최대 주주로서의 입지가 위태로워진 이수만 측이 발생 금지 가처분 신청과 함께 하이브와 손잡고 하이브 측에 지분의 대다수를 넘긴다는 소식과 하이브 측에서 공개 매수를 통해 주식 SM의 지분을 40%까지를 사모으겠다는 발표도 있었다. 아래 글들을 참고 하면 좋을 것이다. https://kulkule.tistory.com/4 주주 행동.. 2023. 2. 28. 제 3자배정 유상증자? 카카오는 SM 주식을 어떻게 산다는 것일까? 신주란? 새로 발행되는 주식을 말하고 유상증자란? 회사가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신주를 발행하여 투자를 받는 방식을 말한다. 카카오-하이브 간 SM 경영권 확보를 위한 지분 확보 대결이 진행되고 있다. 전일까지는 하이브의 공개 매수를 통한 주식 매입 진행을 통해 SM이 하이브로 인수되지 않을까 하는 분위기가 대다수였다. 오늘은 갑작스럽게 CJ그룹이 카카오의 우군으로 등장해 공개 매수 및 블록딜을 통해 지분 확보에 나설 것이란 기사가 나면서 혼전 양상으로 들어가고 있다. 어제는 적대적 M&A를 소개하면서 공개 매수에 대한 내용은 공부하였으니 이번엔 카카오가 처음 SM의 주식을 확보할거란 기사가 났을 때 나온 제 3자배정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겠다. https://economist.co.kr/article/v.. 2023. 2. 14. 적대적 M&A란? 하이브의 적대적 M&A 시도는 성공할 것인가? 적대적 M&A란 상대방 기업의 동의 없이 강제적으로 상대 회사를 인수 및 합병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에 대한 아주 좋은 예시가 최근 화제인 SM 엔터테인 먼트와 하이브의 지분 경쟁이다. 국내 제일의 엔터테인먼트 기업 중 하나인 SM 엔터테인먼트가 경영권 분쟁에 휘말렸다. 그 시작은 얼라인 파트너스 자산운용사의 주주 행동주의 캠페인으로 인해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가 SM으로부터 개인회사의 독점 계약을 잃게 되면서 시작된다. 간단히 내가 썼던 주주 행동주의 글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https://kulkule.tistory.com/4 주주 행동주의란? 주주 행동주의란 저평가된 회사의 지분을 매입 또는 주주 의결권을 모아 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가 상승을 추구하는 방식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유명.. 2023. 2. 14. 주주 행동주의란? 주주 행동주의란 저평가된 회사의 지분을 매입 또는 주주 의결권을 모아 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가 상승을 추구하는 방식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행동주의(Activism) 펀드들이 많이 있다. eBAY, Pinterest, Twitter 등 회사 지분을 매입하여 이사회 구성 변경 및 불필요한 자산 매각을 하도록 압박하여 회사 경영의 효율화를 가져오도록 했던 외국계 헤지펀드 ELLIOTT가 유명하다. 사실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회사라 와닿지 않을텐데.... 최근 우리가 모두 아는 회사인 SM Entertainment에 행동주의 펀드가 참여하여 회사의 경영 방식을 크게 바꾼 대표적인 주주 행동주의의 예가 있어서 참고할만 하다. 그 회사가 바로 얼라인 자산운용이다. SM Entertainmen.. 2023. 2. 7. 이전 1 다음